7월 8일(화) 뉴욕증시는 전일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위협 재개 발표 여파가 이어지는 가운데 전반적인 관망세 속 소폭 하락 마감했습니다. 주요 지수별 흐름은 다음과 같습니다:
- S&P 500: –4.46pt (–0.07%) → 6,225.52pt
- 다우존스 산업평균: –165.60pt (–0.37%) → 44,240.76pt
- 나스닥 종합지수: +5.95pt (+0.03%) → 20,418.46pt, 사실상 보합 마감
- 러셀 2000 (소형주): +0.66% 반등 → 2,229pt대 회복
단기적으로 관세 리스크가 완전히 해소되지 않은 가운데, 기술주 중심으로는 주춤했지만 소형주와 일부 헬스케어·인프라주 ETF는 강세를 보였습니다.
🧭 5대 시장 모멘텀 분석
① 📦 관세 리스크 다시 부상
- 트럼프 전 대통령은 7월 9일을 앞두고 일본·한국 등 14개국에 25% 관세 재부과 예고,
- 8월 1일부터는 또다시 실행 가능성을 거론하며 시장 불확실성을 끌어올렸습니다.
- 관세 관련 규제 강화 움직임으로 소비주·자동차·반도체 업종 압박이 이어졌습니다.
② 🧭 투자자 전략 변화
- 과거 트럼프 관세 발표 이후에도 시장이 크게 반응하지 않았던 경험(자주 ‘관망→탄력 대응’ 반복) 덕에
- 이번에도 단기 조정 국면이지만 큰 폭 조정은 제한적이라는 의견이 많습니다 .
③ 🩺 Moderna·Freeport 등 개별 종목 활약
- Moderna는 +8.8% 급등하며 S&P500 내 최고 상승률 기록.
- Freeport-McMoRan(구리광산업체)는 트럼프의 50% 구리 관세 공포에도 +2.5% 오름세를 나타냈습니다.
④ 🌞 재생에너지株 약세
- 백악관이 태양광·풍력 세액공제 축소 계획을 발표하면서 Sunrun –11.4%, Enphase –3.6%, SolarEdge –1.0% 등 관련 종목이 급락.
⑤ 🏦 애널리스트들의 낙관론 유지
- Bank of America는 S&P500 올해 말 목표를 6,300pt로 상향,
- Goldman Sachs는 6,600pt로 상향하면서 연내 금리 인하 기대와 기업 실적 상승 반영.
📊 섹터 및 종목별 특징 흐름
섹터/대표주당일 흐름세부 관전 포인트
기술·빅테크 | 보합~소폭 하락 | Apple·MS·Meta 혼조, Meta AI 연구진 영입 뉴스 호재 |
소비재 | 약세 | Amazon –1.8% 하락 (Prime Day 4일 행사 추진에도 소폭 조정) |
헬스케어·바이오 | 강세 지속 | Moderna +8.8% 급등, 백신 정책·비용 삭감 기대 반영 |
소형주 | +0.66% 상승 | 공급망·무역 정책 리스크 적은 구조적 특성 반영 |
에너지·구리 관련주 | Freeport +2.5% | 구리 관세 충격에도 견조한 수급 반영 |
재생에너지주 | –3~11% 급락 | 조세정책 변경으로 인한 단기 충격 |
🔍 채권·환율·원자재 시장 동향
- 달러지수(DXY): +0.2%~0.6% 상승, 안전자산 선호 심리 반영
- 국채 금리(10년물): 소폭 상승 중, 4.42% 선 유지
- 금값 상승: $3,288/조각, +0.5~1.0% 상승, 안전자산 선호 흐름 동반
- 유가(WTI): –0.8% 하락 → 배럴당 $68.33, 미국 공급 전망 둔화 배경
🧭 투자 전략 제언
✔️ 단기 전략
- 리스크 확인 후 진입: 관세 발표 일정(7/9, 8/1) 이후까지 분할매수 권장
- 헬스케어·바이오 중심 포트 구성: Moderna 등 안전·성장 혼합형 중심
- 방어 자산 활용: 금 ETF·국채 ETF로 리스크 완화
⚠️ 중기 전략
- 기업 실적 시즌 대처: 2분기 실적 발표(S&P500 기업) 전후 시장 반응 모니터링
- 무역 정책 변수 대응: 관세 확정 또는 철회 여부에 따른 섹터별 대응 전략 수립
📅 향후 일정 캘린더 주요 참고
날짜주요 일정내용 요약
7/9(수) | 관세 유예 만료 | 일본·한국 등 관세 확대 여부 결정 |
7/10(목) | 금리 의사록 공개 | 6월 FOMC 의사록 • 통화정책 향방 단서 |
7/11(금) | 소비자물가지수(CPI) 발표 | 인플레이션 흐름 점검 |
7/12(토) | 고용보고서 | ADP 및 비농업 고용지수 발표 |
7/30~31 | 7월 FOMC | 금리 동결 OR 인하 예고지점 |
📝 종합 결론
7월 8일 뉴욕증시는 관세 변수 부상, 개별 종목 중심 수급, 그리고 헬스케어·바이오·소형주 중심 풍부한 수급 흐름이 맞물리며 전반적으로는 보합~소폭 하락 장세를 보였습니다.
• S&P500·다우는 –0.1 ~ –0.4% 하락,
• 나스닥은 사실상 보합,
• 러셀2000은 +0.7% 회복.
📌 단기적으로는 정책 변수 확인 후 분할 진입 전략이 중요하며,
📌 중기적으로는 실적 시즌, 금리 동향, 고용·물가 지표 결과를 주시하며 유연한 포트폴리오 재조정이 필요합니다.
'미국주식 시황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2025년 7월 7일 미국증시 시황] 관세 폭탄→‘위험회피’ 전환…테슬라 6.8% 폭락 (0) | 2025.07.08 |
---|---|
[2025년 7월 2~3일 미국증시 시황] 무역협상 훈풍 속 나스닥·S&P 신고가…고용 둔화가 부른 랠리? (0) | 2025.07.04 |
[2025년 7월 1일~7월 2일 프리마켓] 🇺🇸 기술주 숨 고르기 속 반등 모색… (0) | 2025.07.02 |
[2025년 6월 30일~7월 1일 프리마켓] 미국증시 신고가 랠리 + 무역협상 기대 & 달러 급락 (0) | 2025.07.01 |
[2025년 6월 26일 미국증시 시황] 관세 연장 기대·달러 폭락·나스닥 신고가…연준 변수는? (0) | 2025.06.27 |
[2025년 6월 25일 미국증시 시황] 휴식 장세 속 ‘신고가·안정’…FOMC 속도론 확인, 외인 투자 주목 (0) | 2025.06.26 |
[2025년 6월 24일 미국증시 시황] 중동 휴전에 랠리🌍 나스닥 신고가·S&P·다우 1%대 급등! (0) | 2025.06.25 |
[2025년 6월 23일 미국증시 시황] 지정학 긴장 완화 속 증시 랠리✌️—나스닥·S&P 1% 급등 (0) | 2025.06.2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