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미국기업분석

☕ 스타벅스 2025년 2분기·3분기 실적 분석 및 시장 파장 전망

스타벅스 실적

1️⃣ 2분기 실적 요약 및 평가

▪ 실적 요약

  • 매출: 약 88억 달러로, 애널리스트 예상치(약 88.9억 달러)보다 소폭 하회 
  • 주당순이익(EPS): 0.41달러, 전년 대비 약 38% 감소, 예상치(0.51달러)에도 크게 못 미쳐 약 19% 하회 
  • 글로벌 동일 매장 매출: 약 1% 감소, 거래횟수는 –4%, 평균 지출은 +3%로 일부 상쇄 

▪ 마진 및 비용 구조 변화

  • 북미 지역 영업이익: 7.48억 달러, 전년 대비 약 34.8% 감소
  • 영업이익률: 11.6%로 하락, 전년의 18%에서 약 640bp 급락 

▪ 전략적 원가 투자

  • CEO Brian Niccol은 “Back to Starbucks” 전략을 통해 바리스타 채용 확대, 그린 에이프런 서비스 도입 등 고객 서비스 향상 중심 투자 단행
  • 북미 직영점 중 700여 개 매장에 시범 도입, 향후 확대 예정 

결과적으로 수익성은 크게 악화되었지만, 단기적 손익 희생을 감수한 전략적 전환 시점으로 해석됩니다. 

 

 

 

 

2️⃣ 3분기 실적 업데이트 및 흐름

▪ 실적 요약

  • 매출: 약 95억 달러로 전년 대비 +4% 성장 (예상치 ≈92.9억 달러 대비 2.26% 상회) 
  • EPS: 0.50달러, 전년비 약 45% 감소, 예상치(0.65달러)에 크게 못 미쳐 약 23% 하회 
  • 글로벌 동일 매장 매출: 2% 감소에도, 중국 시장은 최초로 +2% 반등 

▪ 중국 시장의 회복

  • 2023년 말 이후 처음으로 중국 매장의 동일 매장 매출이 증가, 평균 구매액은 –4% 감소했지만 거래 횟수 +6% 반등
  • 가격 인하 전략의 성과로 평가됨 

▪ 주가·시장 반응

  • EPS 하회에도 불구하고 출장 후 시간외 거래에서 약 3% 상승, 이는 매출 개선 흐름과 중국 회복 기대감 반영 
  • 북미 누적 매장 구조조정 및 노동 투자 전략에 대한 시장의 인내심이 요구됨 

 

 

3️⃣ 전략 평가 및 향후 방향

◽ 'Back to Starbucks' 전략 실천

  • 인건비 강화와 고객 경험 복귀 중심: 바리스타 노동 시간 확대, 자동화보다는 인간 중심 서비스
  • 그린 에이프런 서비스, 메뉴 간소화, 매장 공간 재설계 등 고객 만족 중심 투자 확대 

◽ 중국 시장 전략 개선

  • 프리미엄 브랜드 이미지 유지와 경쟁력 확보를 위해 현지 파트너 모색, 가격 인하 통한 거래 횟수 회복
  • 중국 내 브랜드 입지 강화가 장기 수익 기반이 될 수 있음 

◽ 비용-수익 구조 조정 리스크

  • 단기적으로 영업이익 반토막 수준의 손익 악화는 피할 수 없는 현실
  • TD Cowen 등 분석가는 소비자 인식 하락, 비용 구조 재조정 한계, 낮은 고객 만족도 등을 분석하며 목표가 하향을 제안 중  

 

 

4️⃣ 증시 및 세계 경제 파급 효과

✅ 투자자 심리와 증시 흐름

  • S&P 500 및 나스닥 선물시장 반등에도 일부 개별 종목에서는 불확실성이 확대
  • 스타벅스 실적 발표 전후, 주요 기술주 (MSFT, META, Alphabet)의 실적 기대와 맞물려 투자자 선호 변화 감지 

🌏 글로벌 소비 트렌드 영향

  • 소비심리 둔화가 지배적인 가운데, 프리미엄 브랜드 리포지셔닝 시도는 글로벌 소비 방향성 전환 시그널
  • 중국 거래 회복은 글로벌 소비주 투자자들에게 긍정 시사점 제공

🛒 인건비 상승과 인플레 압력

  • 미국 내 인건비 확대 및 운영 리스크는 물가 상승(인플레이션) 압력으로 전이될 가능성
  • 스타벅스가 가격 인상을 회피하며 수익성을 희생하는 대신 고객 유입 전략을 택한 점은 시장 흐름 변화 반영

🧭 ESG 및 노동 정책 변화

  • 노동자 중심의 전략 강화는 장기적으로 ESG 평가 개선 요소로 작용 가능
  • 특히 미국·유럽 등에서 소비자와 주주 모두 노동환경과 지속 가능성을 중시하는 추세 지속 

 

 

5️⃣ 종합 요약 및 메시지

  • 2분기 실적은 EPS 0.41달러로 예상 하회, 마진 구조 급격하게 악화
  • 3분기 실적은 매출 상회에도 EPS 하락 지속, 중국 시장 회복이 유일한 희망 요인
  • ‘Back to Starbucks’ 전략은 장기적 브랜드 재정비와 고객 경험 개선에 초점, 단기 수익성 희생은 불가피
  • 시장 반응은 혼재: 일부 분석가는 재정비 필요성 인정하나, 투자자들은 인내심이 필요한 국면으로 판단
  • 글로벌 소비 및 인플레이션, 노동환경 방향 변화에 맞춘 전략적 변곡점으로 해석 가능