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미국주식 시황정리

[2025년 7월 18일 미국증시 시황] 나스닥 신고가·S&P 강보합…무역·실적·정책 3중 변수

지난 7월 18일 금요일, 뉴욕 증시는 S&P 500, 나스닥 신고가 경신 속에도 무역·관세 우려가 번지면서 일대 혼조 마감을 나타냈습니다.

  • S&P 500: −0.57p (−0.01%) → 6,296.79pt, 사상 최고치 단기 회복
  • 나스닥 종합: +10.01p (+0.05%) → 20,895.66pt, 5거래일 연속 신고가 마감 
  • 다우존스: −142.30p (−0.32%) → 44,342.19pt 
  • 러셀2000 (소형주): −13.68p (−0.61%) → 2,240.01pt 

이번 주 S&P 500은 +0.6%, 나스닥은 +1.5% 상승 마감하며 3거래일 상승 주간을 이어갔습니다. 다우는 소폭 하락했고, 러셀2000은 거의 변동이 없었습니다

 

 

 

 

🧭 5대 주요 모멘텀

① 📈 기업 실적 호조

글로벌 대형 은행(Charles Schwab·Regions Financial)의 강한 실적은 금융 섹터 전반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습니다. 또한 암호화폐 섹터는 의회가 스테이블코인 규제 법안 통과로 반등세를 보였습니다.

② 📊 6월 소매판매·소비 심리 개선

소비자지표(Michigan Sentiment 지수 61.8, 6월 소매판매 +0.6%)는 경기 회복 기대를 부각시켜 증시에 추가적인 상승 동력을 제공했습니다.

③ ⚖️ 트럼프 관세 우려

EU 관세 가능성(15~20%) 보도에 따라 단기 조정 흐름이 나타났으나, 시장은 과거 무역 협상 패턴으로 인해 우려보다 빠르게 수용하며 우상향 흐름을 지속했습니다.

④ 💹 금리·채권 안정

국채 금리는 하락했고(10년물 ≈4.42%), 달러 약세와 더해 금 가격 강세가 지속되며 금·채권·달러 활용 전략 강화가 유효해졌습니다.

⑤ 🕰️ 시즌 효과 ‘7월 랠리 지속’

시타델 등 기관은 7월 ‘딥매수(buy the dip)’ 전략을 강화하고 있으며, 7월 세 번째 신고가 달성, 투자자들의 시장 기대가 유지되고 있습니다.

 

 

 

📈 섹터·종목별 흐름 분석

섹터 / 종목등락특징
나스닥100 +0.75% 기술·AI주 중심 신고가 지속
금융주 혼조 Schwab, Regions 실적 호재에도 일부 은행주는 약세 흐름 혼재
유틸리티 +상승 S&P 섹터 내 최고 상승, 위험회피 특징
소비재 혼조 Amazon –1.8% 약세, Netflix +4.5% 이상 실적·매출 상향 등에 주목 
암호화폐 관련 +회복 스테이블코인 법안 통과 영향 
에너지 혼조 Chevron·Hess M&A에 따른 일시적 파동 존재

 

 

 

🔍 채권·환율·부동산·기타 시장 흐름

종목흐름코멘트
미국 채권(10년물) 금리 ↓ (≈4.42%) 금리 안정 + 경기 안도 지속 
달러지수 약세 달러 하락은 수출 중심주 매수 유리 
금 가격 상승 (≈$3,300대) 인플레 헤지 수요 반영 
비트코인 ≈$118,000 스테이블코인 입법 영향으로 안정적 추세

 

 

 

🧭 투자 전략 및 대응 가이드

✔️ 단기 전략

  • 신고가·락다운등 랠리 종목의 분할매수 접근: 특히 기술·AI·은행주 중심
  • 금·채권 ETF 활용: 포트 방어 및 헤지 목적 비중 확대
  • 관세 변수 확인 후, 기술·소비·에너지주별 대응

⚠️ 리스크 포인트

  • 관세 재부과 이슈(EU 적용 가능성)가 불씨로 작용
  • “Sell in May” 이후 여름 랠리 종료 시기 전후 단기 조정 가능성
  • 2분기 실적 시즌 중반 진입으로 기업 이슈별 성과 차별화 가능

🎯 중기 전략

  • 성장+밸류+방어 섹터 포트폴리오 유지
  • 실적 발표 일정 확인: Amazon, Netflix, JPM, Bank of America 등 2분기 실적 발표 예정
  • 7월 말 Fed 의사록 및 고용·물가 지표 대응 계획 수립
 
 
 

📅 향후 일정 캘린더

날짜이벤트내용
7/19~24 2분기 실적 발표 주요 은행·빅테크 2분기 실적 공개 기조
7/30~31 7월 FOMC 회의 금리 정책 방향 확인
8/1 무역·관세 발표 유예 종료 여름 일시적 변수 가능성
여름 시즌 이벤트 부재 구간 전통적 약세장 가능성
 
 
 

✍️ 종합 요약

📌 7월 18일 뉴욕증시는 실적·경제지표 호조에 힘입어 신고가를 경신했지만 관세 우려와 차익실현 매물로 혼조 마감했습니다.
• 기술주 중심으로 신고가 지속,
• 금융·헬스케어 중심 섹터 강세,
• 에너지·소비·소형주 등은 개별 이슈 중심 혼조 흐름.
➡ 투자 전략은 단기 모멘텀 재확인→분할매수, 방어 자산 병행, 중기 실적‧정책 일정 대응,
➡ 여름 랠리 지속 여부에 대비한 유연한 대응이 필요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