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한국주식 시황정리

[2025년 7월 21일 한국증시 시황] 코스피 3,210 회복…외국인 ‘1조 매수’·리튬·조선·철강 강세

2025년 7월 21일(월), 한국 증시는 외국인·기관의 강력한 매수 주도로 상승세를 보였습니다.

  • 코스피는 전일 대비 +22.74p(+0.71%) 상승한 3,210.81pt로 마감.
  • 코스닥+1.02p(+0.12%) 오른 821.69pt로 소폭 상승 마무리.
    외국인은 유가증권시장에서 약 8,935억원을 순매수했고, 기관도 1,643억원, 프로그램 매매까지 6,379억원을 매수하는 등 매수 주체가 집중되었습니다.
    개인은 순매도(코스피 –10,578억원)였지만, 외국인 매수세가 환율 안정과 지수 회복에 큰 역할을 했습니다

 

한국 증시

 

 

💹 1. 수급 흐름 & 환율 영향

  • 외국인 순매수: 유가증권 시장에서 약 8,935억원
  • 기관 매매: +1,643억원, + 프로그램 매매 +6,379억원 
  • 개인: 코스피 –10,578억원, 코스닥 +100억원 순매도 
  • 환율(원/달러): 장중 1392원대 → 1388원대 하락, 원화 강세 전환 유도.

외국인의 집중 매수는 환율 안정으로 이어졌고, 원화 강세는 코스피의 단기 회복을 뒷받침했습니다. 

 

 

 

🚀 2. 업종·테마별 흐름

① 2차전지·전기차·리튬

  • 중국의 전기차·배터리 감산 계획 발표로 공급 우려 해소 → 리튬 현물가 3개월 최고 기록
  • 관련 종목: 리튬포어스, 하이드로리튬, 천보 등 +20~30% 급등

② 조선·해운

  • 조선 플랜트 대형 수주·한미 협력 기대 확산 → 한화오션 +4.98% 등 강세 

③ 철강

  • 중국의 과잉생산 규제 및 반덤핑 강화 → 국내 철강사 수익성 개선 기대 → 현대제철 +5.32% 상승 

④ 석유화학 (에폭시 수출)

  • EU·미국 반덤핑 정책 수혜 확대 기대 → 롯데케미칼 +4.39% 등 석유화학주 상승 

⑤ 콘텐츠·엔터·헬스케어

  • 넷플릭스 애니 인기 확산 → 스튜디오미르 +3.86% 급등 
  • 제약·바이오 일부는 약세(제약 –1~2%) 

 

 

 

 

⚠️ 3. 약세 종목 및 리스크 요인

  • 가상화폐 관련주: 스테이블코인 입법 후 차익실현 매물 출회, 비트코인 하락에 연동 
  • 전력설비·전선주: 공공기관 거래 중단 소식에 일진전기, 현대일렉트릭 등 –7~8% 하락 
  • 비만치료제ㆍ제약: 단기 상승 모멘텀 소진 → 조정 국면 

 

 

 

 

📊 4. 시가총액 대형주 흐름

  • 삼성전자: +1.04% 상승, 외국인 순매수 대량 유입 중 
  • SK하이닉스: +1.30%, 2차전지·반도체 동반 상승 흐름 
  • LG에너지솔루션: +2.64% 강세
  • 삼성바이오로직스: –1.14% 조정 
  • 한화에어로스페이스: +2.57% 상승 

 

 

 

📌 5. 전문가 코멘트 & 투자 포인트

  • 중국 관련 감산 정책은 리튬·철강·조선·석유화학 등 소재 산업의 중기 구조 개선 기대 
  • 외국인의 1조원대 순매수는 환율 안정 + 수급 리스크 완화 신호
  • 반면 공공기관 거래 중단·입법 이슈로 전력·제약·가상화폐 등 섹터는 조정 양상 

 

 

🗓️ 6. 향후 일정 체크

날짜일정주요 영향
7/22(화) 美 파월 연설 금리 동결·인하 관전
7/23(수) 美 FOMC 위원 연설 금리 시각 혼선 감시
7/24(목) 국내 제조업·수출 지표 중국 감산 연계
7/25(금) 美 TIPS 입찰 물가·인플레 반응 지표
7/30~31 FOMC 회의 국내 수급에도 영향
 
 
 
 

🎯 7. 투자 전략 요약

✅ 단기 전략

  • 리튬·조선·철강·석유화학 중심 섹터 집중 → 모멘텀 유효
  • 대형주 중심 회복 랠리 참여 전략

⚠️ 리스크 감시

  • 가상화폐, 전력설비 등 정책 민감 테마는 분할 접근
  • 글로벌 금리·환율, 무역 변수 영향 체크

🎯 중장기 전략

  • 中 감산·반덤핑 정책 대응 섹터 구조적 상승 기대
  • 환율 변동 대응 → 외국인 수급 강세 종목 중심 포트 유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