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전체 글

(168)
[2025년 7월 23일 미국증시 시황] 무역합의 기대감에 3대 지수 ‘고공 랠리’—나스닥 21,000 돌파 2025년 7월 23일(수), 뉴욕증시는 미국·일본·EU 간 무역협상 진전 기대감에 힘입어 3대 지수 모두 강세 마감했습니다.다우존스 산업평균: +507.85p (+1.14%) → 45,010.29ptS&P 500: +49.29p (+0.78%) → 6,358.97pt (종가 기준 사상 최고치)나스닥 종합지수: +127.33p (+0.61%) → 21,020.02pt (사상 첫 21,000선 돌파) 이번 상승은 단지 기록 경신에 그치지 않고, 무역 리스크 해소 → 투자심리 호전 → 위험자산 선호 확산이라는 긍정적 흐름이 지속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큽니다. 📈 1. 시장 수급 & 심리 분석① 무역협상 기대감미·일 15% 상호관세 합의 도달, 이어서 미·EU도 비슷한 수준에서 무역협상 근접했다..
[2025년 7월 22일 한국증시 시황] 코스피 차익매물 출회로 3,169 ‘숨고르기’…리튬·AI만 선방 2025년 7월 22일(화), 한국 증시는 연고점 테스트 후 강한 차익매물 압력에 직면하면서 3,200선을 내줬다가 3,169.94pt로 마감했습니다.코스피: –40.87p (–1.27%) → 3,169.94pt 코스닥: –1.06% 하락한 812.97pt, 4거래일 만에 조정 전환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매도세를 나타낸 가운데 개인은 긴급 차익실현에 나섰습니다. 테마주는 리튬·AI 일부 종목이 급등하며 선방했지만, 대형주는 전반적으로 내림세를 보였습니다. 📊 1. 수급 동향 및 환율 영향외국인: 코스피 현물 –2,659억, 선물 –7,950억 → 총 –10,609억원 매도기관: –4,608억원 순매도 개인: 코스피 +7,132억원 순매수 개인은 차익 실현 구간에서 적극 매수했고, 외국인·기관..
[7월 21일 미국 증시 시황] 기술주 반등에 상승 마감…테슬라·MS 주도, 금리 우려는 여전 ■ 뉴욕증시 개요2025년 7월 21일(현지시간) 뉴욕증시는 기술주 중심의 상승세에 힘입어 주요 지수가 모두 강세로 마감했습니다. 나스닥 지수는 테슬라(TSLA)와 마이크로소프트(MSFT)의 강력한 반등에 힘입어 전일 대비 큰 폭으로 올랐으며, S&P500과 다우존스 지수 또한 동반 상승했습니다.▷ 마감 지수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: 전일 대비 +0.40% 상승S&P500 지수: +0.55% 상승나스닥 종합지수: +0.95% 상승이날 증시는 장 초반까지는 혼조세를 보였으나, 기술주가 본격적으로 매수세를 이끌며 시장 전반에 긍정적인 흐름을 안겨주었습니다. ■ 주요 이슈 분석▶ 테슬라, 반도체·AI 기대감에 6% 급등전기차 대표주자인 **테슬라(Tesla)**는 전 거래일 대비 6% 이상 상승하며 시장을..
[2025년 7월 21일 한국증시 시황] 코스피 3,210 회복…외국인 ‘1조 매수’·리튬·조선·철강 강세 2025년 7월 21일(월), 한국 증시는 외국인·기관의 강력한 매수 주도로 상승세를 보였습니다.코스피는 전일 대비 +22.74p(+0.71%) 상승한 3,210.81pt로 마감.코스닥도 +1.02p(+0.12%) 오른 821.69pt로 소폭 상승 마무리.외국인은 유가증권시장에서 약 8,935억원을 순매수했고, 기관도 1,643억원, 프로그램 매매까지 6,379억원을 매수하는 등 매수 주체가 집중되었습니다.개인은 순매도(코스피 –10,578억원)였지만, 외국인 매수세가 환율 안정과 지수 회복에 큰 역할을 했습니다. 💹 1. 수급 흐름 & 환율 영향외국인 순매수: 유가증권 시장에서 약 8,935억원기관 매매: +1,643억원, + 프로그램 매매 +6,379억원 개인: 코스피 –10,578억원, 코..
[2025년 7월 18일 미국증시 시황] 나스닥 신고가·S&P 강보합…무역·실적·정책 3중 변수 지난 7월 18일 금요일, 뉴욕 증시는 S&P 500, 나스닥 신고가 경신 속에도 무역·관세 우려가 번지면서 일대 혼조 마감을 나타냈습니다.S&P 500: −0.57p (−0.01%) → 6,296.79pt, 사상 최고치 단기 회복나스닥 종합: +10.01p (+0.05%) → 20,895.66pt, 5거래일 연속 신고가 마감 다우존스: −142.30p (−0.32%) → 44,342.19pt 러셀2000 (소형주): −13.68p (−0.61%) → 2,240.01pt 이번 주 S&P 500은 +0.6%, 나스닥은 +1.5% 상승 마감하며 3거래일 상승 주간을 이어갔습니다. 다우는 소폭 하락했고, 러셀2000은 거의 변동이 없었습니다. 🧭 5대 주요 모멘텀① 📈 기업 실적 호조글로벌 대형 ..
[2025년 7월 16~17일 미국증시 시황] ‘파월 해임 리스크’에 출렁…나스닥·S&P 신고가 경신 지속 2025년 7월 16일(수), 뉴욕 증시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‘파월 연준 의장 해임 가능성’ 보도와 부인, 6월 생산자물가지수(PPI) 안도, 금융 및 기술 업종의 실적 혼조 등의 요인이 엇갈리며 변동성이 확대됐다가 안정 마감했습니다.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: +231.49p (+0.53%) → 44,254.78pt S&P 500 지수: +19.94p (+0.32%) → 6,263.70pt나스닥 종합지수: +52.69p (+0.25%) → 20,730.49pt (3거래일 연속 신고가) 러셀 2000 (소형주): +21.93p (+1.0%) → 2,226.98pt 📈 S&P500은 사상 최고치 근접한 흐름을 보였고, 나스닥은 3일 연속 신고가를 경신하며 상승 모멘텀을 유지했습니다. 🧭 5대 핵심..
[7월 8일 미국증시 시황] 관세 변수 복귀…S&P 소폭 하락·러셀·나스닥 혼조 대응 전략 7월 8일(화) 뉴욕증시는 전일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위협 재개 발표 여파가 이어지는 가운데 전반적인 관망세 속 소폭 하락 마감했습니다. 주요 지수별 흐름은 다음과 같습니다:S&P 500: –4.46pt (–0.07%) → 6,225.52pt 다우존스 산업평균: –165.60pt (–0.37%) → 44,240.76pt 나스닥 종합지수: +5.95pt (+0.03%) → 20,418.46pt, 사실상 보합 마감 러셀 2000 (소형주): +0.66% 반등 → 2,229pt대 회복 단기적으로 관세 리스크가 완전히 해소되지 않은 가운데, 기술주 중심으로는 주춤했지만 소형주와 일부 헬스케어·인프라주 ETF는 강세를 보였습니다. 🧭 5대 시장 모멘텀 분석① 📦 관세 리스크 다시 부상트럼프 전 대통..
📉 삼성전자·LG전자 2025년 2분기 실적 분석 – ‘美 관세·제재에 반토막…하반기 반등 전략은?’ 2025년 7월 8일, 국내 대표 전자기업인 삼성전자와 LG전자가 나란히 2분기 잠정 실적을 발표했습니다.삼성전자: 영업이익 4조 6,000억 원, 전년 대비 ‑55.9%, 매출 74조 원로 –0.09% 감소LG전자: 영업이익 6,391억 원, 전년 대비 ‑46.6%, 매출 20조 7,400억 원, –4.4%두 기업 모두 미·중 무역 제재와 미국의 관세 정책에 직격타를 맞았으며, 글로벌 경기 둔화와 물류 비용 상승이 실적에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쳤습니다. 1️⃣ 삼성전자: 반도체 부진이 실적 절반 이상 깎다🔻 핵심 실적 지표매출: 74조 원 (전년 -0.09%, 전분기 -6.49%)영업이익: 4조 6,000억 원 (전년 대비 -55.94%, 전분기 대비 -31.24%)⚠️ 부진 원인반도체(디바이..